불곰의 주식투자 불패공식 - 불곰 박선목 - 부키
회사의 진정한 가치는 과거 가치, 현재 가치, 미래 가치등 세가지를 바탕으로 투자자 스스로가 판단해야 합니다. 다시말해 과거 공시와 뉴스를 살펴보면서 기업의 과거 가치인 히스토리를 파악하고 재무제표를 통해 현재 가치를 가늠하면서 우량주 여부를 판단하며 기업의 주요 아이템을 조사하여 미래 가치인 성장성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P35 문제는 방금 말했듯이 증권사의 가장 큰 목적이 자신의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라는 점이야. 그 수익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바로 '수수료'야. 그러니 뭐가 최우선 과제겠어. 당연히 고객의 재테크를 도와주는게 아니라 매매 수수료를 더 많이 챙기는 거야. 그러자면 고객의 원금을 가지고 사고팔고를 계속 반복해야겠지. 매매회전율을 높인다는 말이 바로 그거야.
P40 신용이든 미수든 빌린 돈으로 주식을 사는 순간 심리 싸움에서 밀리는 거야. 그런건 절대로 하지 마라.
P42 증권사 직원을 통해서 5000만원 미만을 매매했을때 0.4972
그러면 계산하기 편하게 0.5 퍼센트쯤 된다고 하자. 매수수수료 0.5퍼센트 더하기 매도 수수료 0.5퍼센트 더하기 거래세 0.3퍼센트 총합은 1.3 퍼센트요 별로 크지는 않은 것 같은데. 띠끌모아 태산이야. 1년이 몇주?. 52주.
네가 가진 돈은 1억원 매수 수수료 매도 수수료 거래세를 찹치면 1.3퍼센트. 1년은 52주 여기서 오늘의 질문 네가 1년동안 수익과 손실없이 동일 가격에 매주 거래를 하게 됐어. 1년후 얼마가 남아 있을것 같아?. 1억원이 절반정도로 줄어
계산해 보니 52주후에는 50,639,795원이 된다.
P70 제대로 볼줄 모르면 독이거든. 경제신문에는 살아있는 정보가 거의 없어. 오히려 펀드출시, 은행의 금융 신상품 출시, 연금보험 소개 등 금융권 회사들을 위한 홍보성 기사가 너무 많아. 이런 것을 가려낼 줄 알고서 봐야해.
P117 그런 다른 예를 들어볼게. 네가 1984년에 '원금보장'이라는 말을 듣고 100만원을 빌려주거나 투자했다고 생각해보자. 그리고 2015년에 100만원을 돌려받았어 이게 원금보장일까? 아닌것 같은데요? 왜일까?
돈의 가치가 바뀌었잖아요. 예를 들어 1984년의 배추 100포기 가격과 2015년의 배추 100포기 가격은 다르잖아요. 물가가 오르고 돈의 가치가 변했으니 31년전의 100만원과 현재의 100만원은 확실히 다르죠.
P159 다섯가지란 (연결)재무재표, (연결)포괄손익계싼서, (연결)자본변동표, (연결)현금흐름표, (연결)재무제표주석이다. 여기서 중점적으로 이야기 할 두가지는 연결재무상태표와 연결포괄손익계산서야. 그러고 나서 (연결)현금흐름표를 짧게 설명해 줄게
불곰의 5단계 투자기업 탐색전략
1단계 : 관심이 가는 회사가 있다면 맨먼저 재무에 관한 사항을 먼저 확인한다.
- 적가 기업에는 관심을 투지 않는다.
-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매년 성장하는 회사가 좋다.
- 부채비율이 100퍼센트가 넘으면 투자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 배당여부를 확인한다 배당이 은행이자에 가깝다면 더욱 좋다.
- 향후 주식의 가치를 희석할수 있는 기존에 발행된 CB나 BW가 있는지 확인한다.
2단계 : 1단계를 충족한 회사의 사업의 내용을 숙지한다.
- 산업과 시장을 분석하고 회사의 아이템을 공부하면서 산업내 경쟁력을 파악한다.
- 아이템과 관련된 모든 뉴스와 자료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성장성을 판단한다.
- 예상 PER 를 추정하여 PER 10 이하인 종목에 관심을 둔다.
3단계 : 2단계 충족한 회사의 히스토리르 분석한다.
- 회사가 전자공시시스템을 공시한 모든 내용을 전체적으로 숙지하면서 CB나 BW 발행 대주주 변동 중대한 영업 변동 사항과 같은 중요 공시 내용을 확인한다.
- 회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연력을 비롯한 모든 내용을 숙지한다.
- 최소 5년간의 기업 뉴스(대주주 변동과 그 이유 최고경영자의 능력 등)를 검색하여 향후 발생할수 있는 리스크를 파악한다.
4단계 : 기업과 직접 접촉하여 최대한의 정보를 파악한다
- 탐색과정에서 생긴 의문점들은 전자공시시스템에 기재된 회사 연락처로 전화하여 주식 담장자에게 상세히 물어보며 해결한다. 필요하다면 기업 탐방을 요청한다.
- 아이템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는 주식 담당자보다는 연구소에 직접 전화로 문의하는 편이 나으며, 영업에 관련된 정보는 영업부서에서 얻는다. 부서별 전화번호는 홈페이지에 대부분 나와 있으며 회사 대표번호를 통해서도 연결할수 있다.
기업과 직접 접촉할때 주의사항
- 불특정 다수로부터 많은 전화를 받는 주식 담당자에게서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앞의 1-3단계를 통해 기업과 아이템에 대한 기본 지식을 숙지하고 질문할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뒤 전화를 걸어야 한다.
- 주식 담당자로부터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하여 다른 부서에 전화하는 경우에도 먼저 자신의 신분과 목적을 명확히 밝히면 심도 깊은 정보를 얻기가 수월하다.
- 일대일 질의응답이므로 예의를 갖춰 정중하게 주식 담당자 등의 회사 구성원과 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단계 : 최종적으로 투자를 결정한다.
- 회사가 현재 저평가 상태에 있는지 재확인 한다.
- 저평가된 상태라 하더라도 최근 급등한 종목은 매수하지 않는다.
- 앞의 1-4 단계를 다시 검토하고 기업의 꿈과 비전을 평가하면서 성장세가 지속될 가능성을 따져 본다. 지금까지의 분석을 바탕으로 논리를 세우고 이것으로 자기 자신을 설득해 본다.
- 종목에 대한 자기 확신이 들면 투자를 결정한다.
'BOOK stooory > 책읽는 stoo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등주의 8할은 작전주 패턴으로 움직인다 (0) | 2019.09.03 |
---|---|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 (0) | 2019.09.03 |
나의 월급독립 프로젝트 (0) | 2019.09.02 |
유대인 하브루타 경제교육 (0) | 2019.09.02 |
다시쓰는 주식투자 교과서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