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차트분석이 처음인데요 - 강병욱 - 한빛비즈
P7 미국의 경영학자 아론 레빈쉬타인의 "통계는 비키니와 같다 그것이 보여주는 것은 암시적이지만 숨기고 있는 것은 너무나 중요한 것이다."라는 말에서 알수 있듯이 차트가 보여주는 것은 주가의 움직임과 거래량의 움직임이지만 그곳에는 너무나도 중요한 정보가 숨어 있습니다.
P24 기술적 분석의 기본 목적은 매매 타이밍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즉 기업가치를 포함한 모든 요소들이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고 여깁니다. 그래서 가격의 흐름을 잘 파악한다면 주식의 매매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P32 봉차트 일명 일본식 차트로 통하는 봉차트는 시가, 고가, 저가, 종가로 구성된 가격차트입니다. 일반적으로 봉차트는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의 크기와 가격의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막대모양의 봉으로 표시해서 보여주며 몸통과 꼬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33 바차트는 일명 미국식 차트로 통합니다. 시가, 고가, 저가, 종가로만 구성된 가격차트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바차트가 봉차트를 이용할때보다 추세대 저항대 지지대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유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P35 매물대수는 현재 주가 움직임의 지지대와 저항대를 가장 잘 보여주는 개수를 판단하여 조정해가면서 설정하면 됩니다.
P48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은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등한시해서는 안됩니다. 예를 들어 부도의 가능성이 없고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을 찾아내는 것은 기본적 분석의 몫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가치 있고 저평가 되어 있는 주식을 언제 사고 팔아야 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은 기술적 분석의 몫입니다.
P56 양선은 시가보다 종가가 높게 끝났을 경우 그림과 같이 몸통이 그려집니다. 봉에서 고가는 하루 중에 가장 높은 가격을 말하고 저가는 하루중에 가장 낮은 가격을 말합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양선은 가격이 올랐을때 그려진다고 오해하고 있습니다.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을 기준으로 하는게 아니고 아침에 시작한 가격보다 올랐다면 당일 중 주가가 떨어졌더라고 양선이 그려집니다. 그러므로 양선은 하루중에 매도세보다는 매수세가 활발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몸통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매수세의 강도가 강하다는 뜻이죠.
P273 주식시장은 크게 세개의 힘이 반영됩니다. 즉 매일매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기추세, 수주에서 수개월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중기추세, 그리고 수년 동안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장기추세로 구성됩니다.
장기추세는 세개의 국면으로 구성됩니다. 첫번째 국면은 경기회복과 경기의 장기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에 의해 공격적인 매수세가 나타나는 국면입니다. 이 국면에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투자의욕이 생기지 않는 암울한 상태에 있으며 경기회복은 거의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때 공격적인 매수자들은 시장을 비관하는 매도자들에게서 매수를 시작합니다.
두번째 국면에서는 경기 상황이 좋아지고 소득이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경기개선과 함께 투자자들이 서서히 매수를 시작하는 국면입니다.
세번째 국면에서는 소득과 경기 상태가 호조를 보입니다. 이 시기에 첫번째 국면에서 공격적인 매수를 하던 일부 투자자들은 하락 전환을 예상하며 보유 주식을 처분하기 시작합니다.
P330 차트분석의 5계명을 반드시 기억하세요
- 차트분석이 반드시 맞지는 않습니다
- 수급동향에 주목하세요
"수급은 모든 재료에 우선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시장의 수급주체인 외국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들의 매매동향을 항상 주시하고 있어야 합니다.
- 주가보다는 거래량에 주목하세요
"주가는 거래량의 그림자"라는 투자 격언을 상기하면서 거래량 동향에 더욱 더 주목해야 합니다.
- 너무 잦은 매매를 피하세요
지나치게 낮은 매매는 매매비용이 너무 많이 들게 만들어 투자의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차트분석을 하되 지나치게 자주 매매를 하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
- 지표간의 크로스 체크를 통해 오류를 줄이세요
'BOOK stooory > 책읽는 stoo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란 무엇인가 (0) | 2019.09.09 |
---|---|
통섭과 투자 (0) | 2019.09.09 |
선대인의 대한민국 경제학 (0) | 2019.09.06 |
27년동안 영어공부에 실패했던 39세 김과장은 어떻게 3개월만에 영어천재가 됐을까 (0) | 2019.09.05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