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stooory/책읽는 stooory

습관의 재발견

by 마도사친구 2019. 10. 8.
반응형

습관의 재발견 - 스티븐 기즈 - 비즈니스 북스

 P7 그렇게 내가 '작은 습관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인 나만의 변화 전략이 탄생했다. 이 작은 습관 전략은 아주 사소한 행위를 억지로라도 매일 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것은 '너무 사소한 일이라 실패하기조차 힘들다'는 특성 덕분에 부담이 없으면서도 믿기 힘들 정도로 강한 힘을 발휘한다. 그리고 어떤 긍정적인 행동을 습관으로 정착시켜 주는 매우 우수한 전략이다.

 P25 제아무리 거창한 계획이라도 결과가 따라오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앞으로 매일 하루 두시간씩 운동하겠다고 당당히 선언하더라도 실천하지 않으면 계획은 아무 의미가 없다. 오히려 행동이 뒷받침되지 않는 계획은 자신감만 떨어뜨릴 뿐이다.

 P26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실행에 옮겨는 것은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아주 훨씬 낫다. (이건 수학적으로나 현실적으로도 맞는 말이다)

 P28 어떤 일이든 성과를 보지 못하면 우리는 대개 자신의 무능함을 탓하면서 우리가 사용한 전략에 문제가 있다는 생각은 잘 하지 못한다. 그러고는 같은 전략을 또다시 가져다 쓰면서 그걸로 성과를 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만일 당신도 그렇다면 중요한 사실을 잊고 있는 것이다. 어떤 전략을 써서 여러번 실패했다면 다른 전략으로 눈을 돌리는게 당연하다.

 P51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의지력이 떨어졌거나 당황했을 때 쉽사리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너무 피로하여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할때는 평소 하던 행동을 그대로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P54 어떤 행동이 습관이 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66일이었다. 나는 여기서 '평균'이라는 말을 강조하고 싶다. 실제적인 결과는 18일부터 254일까지로 사람들마다 커다란 편차를 보였다.

 P56 한편 습관이 굳어지기까지 얼마나 오래 걸리느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어차피 우리의 목표는 그 행동을 영원히 이어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P61 반복은 우리의 (잠재의식적인) 뇌가 사용하는 언어다. 습관을 형성하고자 할때 우리의 목표는 반복을 통해 뇌를 바꾸는 것이다. 하지만 뇌는 보상이 따르지 않는 한 변화에 저항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뇌의 입장에서 보면 습관을 바꿀 때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열쇠는 반복과 보상이다. 보상이 따를때 뇌는 더욱 기꺼이 뭔가를 반복하려 한다.

 P62 우리의 잠재의식은 효율을 원한다. 우리에게 습관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이유다. 어떤 행동을 오랜 시간에 걸쳐 반복하면 뇌는 이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배운다.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때마다 수동 모드가 되어 선택지들을 따지다가 역시나 매번 똑같은 식으로 행동하겠다고 결정을 내리는 것보다는 자동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에너지 측면에서 더욱 효율적이다. 어떤 일에 대해 매우 빠르게 결정을 내렸다면 아마도 습관 때문일 것이다.

 P90 예를 들어 내가 당근으로 암을 치유할 수 있다고 선전했다고 하자. 당근은 건강에 좋은 음식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누군가의 암세포를 모조리 없애 주지는 않는다. 암을 치료하지 못한 사람이 "당근을 먹었지만 병이 낫지 않았어요"라고 반발하면 나는 "그건 당신이 당근을 충분히 먹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당신은 진정으로 병이 낫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어요"라고 말하면 끝이다. 바로 이런 식으로 당근(동기)은 그 누구도 건들 수 없는 신성한 영역이 되어 버린다.

 P138 2012년 미국인과 캐나다인 411명을 대상으로 한 직업만족도 조사에서 65퍼센트의 사람들이 자신의 직업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나는 이런 결과가 나오는 이유가 직원들에게 권한을 위임하지 않고 직원들을 통제하려는 오래된 경영 마인드에 있다고 생각한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자율성 즉 자신에게 통제할 능력과 의사결정 능력이 있다고 믿는 것이 그 사람의 직업 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유럽 근로조건감시국이 덴마크에서 실시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업무상 의사결정의 자유가 큰 남자 직원들은 약 90퍼센트 여자 직원들은 약 85퍼센트가 높은 업무 만족도를 보인 반면 업무상 의사결정 자유가 적은 사람들 중에 높은 업무 만족도를 보인 사람은 56퍼센트에 불과했다."

 P152 "아이디어는 실행에 옮기지 않으면 그대로 죽어 버린다." - 로저 본 외호

 P174 "성공이 성공을 가져다준다" 라는 말을 들어 봤을 것이다. 이는 뭐라 말한것도 없이 명백한 사실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실패해서 우울감에 빠진 사람들보다 더 열심히 일한다. 아미 성공의 맛을 보았기 때문이다. 성공은 열정과 행동에 불을 지핀다.

 P200 습관으로 가는 길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일을 해야 한다.
 의지력을 강화시켜라
 매 순간 발전하라
 의지력을 고갈시키지 마라

 P214 "규칙을 잘 알아 두어라 효과적으로 어길 수 있게" - 14대 달라이라마

 P224 어떤 일이든 거부감이 느껴질때면 나는 그것을 잘게 쪼게어 아주 작은 행동으로 만든다. 그러면 만사 해결이다.

반응형

'BOOK stooory > 책읽는 stoo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스완에 대비하라  (0) 2019.10.09
덕질로 인생역전  (0) 2019.10.08
불황이지만 돈을 불리고 있습니다  (0) 2019.09.25
파이브  (0) 2019.09.25
하드보일드 소설 추천(내가 읽을 책들)  (0) 2019.09.24